첫째,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병고(病苦)로써 양약(良藥)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둘째,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제 잘난 체하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일어난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하셨느니라.
셋째, 공부하는 데에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된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하셨느니라.
넷째, 수행하는 데에 마(魔)없기를 바라지 말라.
수행하는 데에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한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모든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다섯째, 일을 계획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일이 쉽게 풀리면 뜻이 경솔해지기 쉽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많은 세월을 두고 일을 성취하라’ 하셨느니라.
여섯째,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한다면 의리를 상하게 된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순결로써 사귐을 깊게 하라’하셨느니라.
일곱째,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진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 무리를 이루라’
하셨느니라.
여덟째, 공덕을 베풀 때에는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게 되면 불순한 생각이 움튼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덕 베푼 것을 헌 신처럼 버리라’ 하셨느니라.
아홉째,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라’하셨느니라.
열째, 억울함을 당할지라도 굳이 변명하려고
하지 말라.
억울함을 변명하다 보면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된다.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기를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 수행의 문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 묘협스님, "십대애행" 중, 보왕삼매염불직기 -
* 대상포진과 감기로 한달을 앓고 있다.
불편하기 짝이 없다.
한달이 이러하니 지치기도 하고...
몸이 아프다는건, 혹은 병이 났다는 것은
좋지 않은 생활이 앃여서 발현이 된것이다.
하루 아침에 생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이 아프면 스스로를 돌아보게 된디.
활동을 제대로 할수 없으니 그럴 수밖에.
반성과 점검 그리고 다짐의 시간이 된다.
내가 살아가는 行행들을 제대로 觀관하게 된다.
명리학을 공부하면서 느끼게 된 것 중 하나가
바로 자신에 대해서 제대로(정직하게) 볼수 있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그러한 점검에 용기가 필요했지만
이치를 알게되니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들인 것이다.
몸에 병없기를 바라지 말자.
이 말을 첫 째로 꼽았다니.
참 대단한 통창력이 아닐수 없다.
'뛰어보자 팔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1) | 2023.10.27 |
---|---|
돈 꾸러가는 날 아침 염병허게도 춥다 (0) | 2023.10.25 |
나무에 핀 연꽃, 목련 (0) | 2023.06.27 |
난문쾌답 (0) | 2023.05.04 |
봄날은 간다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