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시야비야(天道是耶非耶)

....
공자는 말하기를,
"백이, 숙제는 과거의 원한을 기억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남을 원망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라고 하였고, 또
"그들에게 어진 것이란 구하는 대로 얻어지는 것인데 또한 무엇을 원망하였겠는가?"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백이의 심경을 비통한 것으로 보았고, 그들의 일시(軼詩)를 보고 약간 이상함을 느꼈다.
그들의 전기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그러나 백이와 숙제는 주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을 치욕으로 여기고 지조를 지켜 주나라의 양식(糧食)을
먹으려 하지 않고, 수양산에 은거하며 고비(薇)를 꺾어 이것으로 배를 채웠다.
그들은 굶주려서 곧 죽으려고 하였을 때, 노래를 지었는데 그가사는 이러 하였다.
저 서산에 올라 산중의 고비나 꺾자꾸나
포악한 것으로 포악한 것을 바꾸었으니
그 잘못을 알지 못하는구나
신농(神農), 우(虞), 하(夏)의 시대는 홀연히
지나가버렸으니 우리는 장차 어디로 돌아간다는 말인가?
아! 이제는 죽음뿐이로다.
쇠잔한 우리의 운명이여!
마침내 이들은 수양산에서 굶어 죽고 말았다.
이를 미루어본다면, 두 사람은 과연 원망하는 것인가?
원망하지 않은 것인가?
혹자는 말하기를 "천도는 공평무사해서 항상 착한 사람을 돕는다"라고 하였다.
백이, 숙제와 같은 사람은 착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러나 그처럼 인덕을 쌓고 행실을 깨끗하게 하였음에도 그들은 굶어서 죽었다.
어디 그뿐이랴?
70문도(七十門徒)중에서 공자는 오직 안연(顔淵) 하나만을 학문을 좋아하는 제자로 천거하였다.
그러나 안연도 항상 가난하여 조강(槽糠)같은 거친 음식도 배불리 먹지 못하고
끝내 요절하고 말았다.
하늘이 착한 사람에게 보상해준다고 한다면 어째서 이럴 수가 있는가?
도척(盜跖)은 날마다 죄 없는 사람을 죽이고 사람의 살을 회쳐서 먹으며
포악무도한 짓을 함부로 하며 수천명의 도당을 모아 천하를
횡행하였지만 끝내 천수를 다 누리고 죽었다.
이것은 그의 어떠한 덕행에 의한 것이란 말인가?
이런 것들은 다 크고 뚜렷한 사례이다.
또 이를테면 근자에 이르러서도 조행(操行)이 정도(正道)를 벗어나고,
오로지 사람들이 꺼리고 싫어하는 일만 범하면서도 종신토록 안일향락하고
부귀함이 여러 대에 그치지 않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혹은 갈 만한 곳을 골라서 가고
말한 때를 기다려 말하며 길을 갈 때는 작은 길로 가지 않으며
공명정대한 일이 아니며 분발해서 하지 않으면서도 재화(災禍)를 당하는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것은 어찌 된 것인가? 나는 이에 대해서 매우 의혹스러움을 느낀다.
만약에 이런 것이 이른바 천도라고 한다면 그 천도는 관연 맞는 것인가? 틀린 것인가?
....
- 사기열전(史記列傳), '제61권 백이열전
(伯夷列傳)', 司馬遷 -
* 아버지로부터 태사령(太史令)을 이어받았던 사마천은 무제(帝)에게 바른말을 했다가
사형을 받게 된다. 당시 사형을 면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가지가 있었는데
보석금이라 볼수있는 돈을 내고 풀려나는 속전(贖錢)과 생식기를 제거하는 궁형(宮刑)이 있었다.
청렴한 관리였던 사마천에게 그러한 돈이 있을리 없었고 왕의 노여움으로 인하여
후환이 두려워 누구도 도와 주지 않는 상황이였다.
사마천은 궁형(宮刑)을 선택한다.
남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죽음보다 더 치욕스러운 형벌.
그러하기에 그러한 형벌이 내려지면 대부분 죽음을 선택함은 당연한 일이였다.
하지만 가업을 이어받아 집필중이던 역사서의 완성이 죽음보다 한층 무거웠으리라.
사마천은 몸과 마음이 모욕을 당하고 만다.
그럴때가 있지 않은가
때때로 죽음보다 힘든 결정이 있는 법이다.
후에 무제의 화가 진정되어 중서령(中書令)으로 복귀하여 역사서의 표본이 되는
사기(史記)를 완성하게 된다.
이후의 역사가들에게서도 사마천의 사기와 같은 역사가들을 찾기 힘들 정도로 사기는 당대는 물론
후대에서도 찬탄해 마지않는 역사서가 되었다.
그러한 우여곡절을 겪었기 때문일까
사마천은 사기의 첫장에서 하늘의 도리를 묻는다.
궁형을 당하던 때 그의 나이 49세.
지금으로치면 환갑이 훌쩍 넘은 나이에 몸에 난 상처보다 더 깊숙한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
수치를 인내하는 것이 죽음보다 힘든 때가 있는 법이다.
얼마나 처참하고 괴로웠겠는가
백이와 숙제에 자신이 투영 됐으리라.
자신의 억울함을 항변하듯 하늘의 도리를 묻고 또 묻는다.
그리고 분노한다.
대체 하늘의 도리는 옳은 것인가 그른것인가
(天道是耶非耶)....